<p></p><br /><br />드루킹 특검 소식, 사회부 배혜림 차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키워드부터 설명해주시죠. <br> <br>오늘의 키워드는 <특검의 과제>입니다. 이른바 ‘친노’ 그리고 ‘친문’ 그룹에 대한 우호적 여론이 특히 온라인에서 활발하게 형성돼 왔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. 특정 검색어를 1위로 만들자고 하면 실제 검색어 1위에 오르고요, 그런데 이 여론이 순수한 것일까 라는 의문도 적지 않았는데요, 이런 국민적 의문을 밝혀내는 게 특검의 과제라 하겠습니다. <br><br>1. 오늘 특검법이 찬성 183명, 반대 43명의 큰 표차로 통과된 건, 결국 '청와대의 해명도, 경찰의 수사도 못 믿겠다'는 건데요, 이철성 경찰청장은 “드루킹과 송인배 비서관의 관계를 몰랐다”고 하지 않았습니까? 어떻게 모를 수가 있죠? <br><br>청와대는 한 달 전에 이미 송인배 비서관과 드루킹의 관계를 파악했다고 밝혔죠. <br> <br>그런데 이철성 경찰청장은 이를 몰랐다고 하면서 부실 수사 지적이 또 한 차례 나왔는데요, <br> <br>이런 지적에 이 청장은 "부실수사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몰랐다"고 대답했습니다. <br> <br>경찰 총수가 문재인 대통령 최측근이 연루된 드루킹 사건의 파장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밖에 해석되지 않는 대목입니다. <br><br>송인배 비서관이 경공모로부터 받았다는 200만 원에 대해서도, 경찰 관계자는 “얼마 받았는지는 몰랐다"면서 이 사건을 "양파 같다"고 표현했는데요, <br> <br>까도까도 새로운 내용이 나온다는 얘기인데 경찰 수사의 무능을 드러냄과 동시에 이 사건의 복잡성을 의미하는 표현이라 하겠습니다. <br><br>2. 송 비서관이 받은 200만 원, 100만 원씩 두 차례에 걸쳐 사례비로 받은 돈이잖아요. 100만 원 적절한 금액입니까? <br><br>청와대는 “통상적인 수준을 벗어난 건 아니다”라고 밝혔지만, 정치권 인사들의 얘기는 많이 다릅니다. <br> <br>“강연료로도 아닌 간담회 참석비로 100만 원을 받는다는 건 매우 이례적”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청와대 민정수식실도 자의적인 판단으로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3. 특검 수사가 시작되면 지금까지 거론된 인물들이 모두 소환 조사를 받게 될 텐데요, <br><br>친문 그룹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조사를 받게 될 텐데요 <br> <br>김경수 후보, 송인배 비서관은 물론이고, 드루킹의 인사 요구 과정에서 이름이 거론된 백원우 민정비서관도 조사를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핵심적으로 밝혀내야 할 대목은 드루킹이 친문 핵심 인사들 주변에 머물 수 있었던 이유와 배경입니다. <br> <br>이 세 사람 이외의 측근 인사들로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. <br><br>4. 가장 궁금한 건 특검 수사가 시작되면 검찰, 경찰과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느냐는 건데요? <br><br>다른 결론을 도출해낼 것이란 기대를 안고 출범하는 게 특검이죠. <br> <br>그리고 특검이 출범하면 가장 부끄러워해야 하는 건 검찰입니다. <br> <br>통상 "권력형 비리 수사에 최선을 다했다"며 "특검이 출범해도 결과는 똑같을 것"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이번에는 아주 조용히, 내심 특검 도입을 환영하며 표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결국 살아있는 권력 수사에서는 빗겨나 있고 싶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는데요, <br> <br>특검을 하겠다는 법조인도 많지 않아 구인난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찰이든, 검찰이든, 특검이든, 진실을 밝혀낼 의지가 없다면 누가 수사하건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 게 분명합니다. <br> <br>